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정책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조건 안내

by 우당당신 2025. 2. 21.
반응형

1.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이란?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이란,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사람이 처음으로 주택을 구입할 경우 취득세를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정부는 무주택 실수요자의 주택 마련을 지원하고자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2. 감면 대상 및 조건

① 대상자 요건

  • 주택을 생애 최초로 구입하는 사람
  • 본인 및 배우자가 감면 신청 시점에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아야 함
  • 부부 합산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일 것 (매년 기준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신청 전 확인 필수)

②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별 소득 기준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월)
1인 가구 2,390,013원
2인 가구 3,932,658원
3인 가구 5,025,353원
4인 가구 6,097,773원
5인 가구 7,108,192원
6인 가구 8,064,805원

③ 주택 요건

  • 취득하는 주택의 **취득가액이 6억 원 이하(수도권은 12억 원 이하)**일 것
  • 주택 취득 후 본인이 3년 이상 실거주해야 함
  • 주택의 용도가 주거용이어야 하며, 상업용 주택은 감면 대상 제외

④ 소득 기준

  • 부부 합산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매년 기준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신청 전 확인 필수)

3. 감면 혜택

  • 취득세 100% 면제 (감면 한도 내에서)
  • 감면 대상 주택의 취득가액에 따라 50% 또는 100% 감면 적용
  • 감면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일반 세율이 적용됨

취득세 감면 신청 방법 자세히 보기

취득세 계산기 바로가기

 

 

4. 신청 방법

  1. 주택 취득일(잔금 지급일 또는 등기 접수일)로부터 60일 이내에 해당 지방자치단체(시·군·구청)에 감면 신청
  2. 필요 서류 제출:
    • 감면신청서(지방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 별지 제1호 서식)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 증빙 서류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종합소득세 신고서 등)
    • 매매계약서 또는 분양계약서
    • 기타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서류

5. 감면 제외 조건

  • 감면 신청 시점에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배우자 포함)
  • 일정 기간 내 본인 실거주 요건(3년 이상)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 감면 대상 주택의 취득가액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 허위 서류 제출 시 감면 취소 및 추징금 부과 가능

6. 감면 이후 주의사항

  • 주택을 일정 기간(3년) 유지해야 함
  • 3년 이내 주택을 매각하거나 추가 주택을 취득하면 감면 취소 및 취득세 추징 가능
  • 감면 신청 후 취득세 납부 여부 및 감면 세액 환급 여부를 지자체에서 확인

7. 결론 및 추가 정보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은 무주택자에게 유리한 혜택이므로 조건을 잘 확인한 후 신청해야 합니다. 정부 정책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국세청,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또는 세무사 상담을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도움이 필요하면 관할 세무서 또는 시·군·구청에 문의하세요!

 

국세청 공식 홈페이지

반응형